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뉴스312

2023년 단풍 예상시기 올해 첫 단풍 평년보다 느릴 듯 단풍 절정은 평년보다 느릴 듯 ( 10월 1일 설악산에서 첫 단풍 시작, 단풍 절정은 설악산 10월 23일, 내장산 11월 6일 ) □ 웨더아이(대표 김영도)는 올해 첫 단풍은 평년보다 느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첫 단풍 : 산 전체로 보아 정상에서부터 20% 가량 단풍이 들었을 때 ) ○ 10월 1일 설악산을 시작으로, 중부지방에서는 10월 19~20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에서는 10월 20~26일 사이에 첫 단풍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9월의 일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며, 10월의 일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첫 단풍은 평년보다 늦을 것으로 예상된다. ○ 단풍은 하루에 20~25km의 속도로 남쪽으로 이동하여 설악.. 2023. 10. 2.
거창한마당대축제 023.10.12. (목) ~ 2023.10.15. (일) 군민의 날 기념식을 시작으로 군민체육대회, 아림예술제, 평생학습축제, 농산물대축제, 자전거Tour, 향우체육대회, 다문화가족축제 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행사가 가득하다. 또 거리퍼레이드, 시골밥상, 플라이보드&판타지 라이트쇼, 키즈랜드 페스티벌, 푸드트럭, 거창한야시장, 파쿠르 챔피언십 등 눈을 사로잡고 입맛을 돋구는 다양한 즐길거리도 가득하다. 거창한마당대축제 (xn--v69az7jn8fi3p60eb8beyw.kr) 거창한마당대축제 거창한마당대축제,군민의날기념식,아림예술제,녹색곳간거창 농산물대축제,평생학습축제,군민체육대회,다문화가족축제 xn--v69az7jn8fi3p60eb8beyw.kr 출처: 한국관광공사 거창한마당대축제 | 지역축제 | 대한민국 구석구석 축제 (visitkorea.or.kr).. 2023. 10. 1.
10월 주말은 득템하는 날! 4년 만에 돌아온 '뚝섬 재사용장터' ‘뚝섬 재사용 장터(플리마켓)’가 4년 만에 재개장한다.코로나19 확산으로 2020년부터 운영을 중단했던 ‘뚝섬 재사용 장터(플리마켓)’가 4년 만에 재개장한다. 오는 10월 14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토·일요일 총 6회 열리며, 뚝섬 한강공원 광장(7호선 뚝섬유원지역 2, 3번 출구)에서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뚝섬 재사용 장터’는 지난 2004년부터 뚝섬 한강공원에서 매년 운영해온 서울시 공식 재사용 물품 판매·교환장터로, 2019년까지 총 판매 참가 20만팀, 방문 시민 570만명, 물품 거래는 1천만 점에 이를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장터에서는 시민들이 직접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가져와 판매하거나 다른 물건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새활용 체험 및 친환경 캠페인.. 2023. 9. 28.
산으로 바다로 출퇴근…영월·부여·남해 '워케이션' 참가자 모집 출처: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9181 산으로 바다로 출퇴근…영월·부여·남해 '워케이션' 참가자 모집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2023. 9. 28.
수원화성문화제 축제 기간 2023.10.07 ~ 2023.10.09 수원화성문화제에서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과 관련된 이야기를 보고, 듣고, 즐기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화성행궁, 행궁광장 등 역사적 정취가 깃든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문화제의 마지막 날 연계축제로서 펼쳐지는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은 원행을묘정리의궤를 기반으로 한 국내 최대 왕실 퍼레이드이자 시민참여형 퍼레이드로서 축제의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행사를 즐길 수 있다. 힐링폴링 수원화성 메인 (swcf.or.kr) 힐링폴링 수원화성 메인 힐링폴링 홍보영상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에서 펼쳐지는 축제를 즐겨보세요! www.swcf.or.kr 출처: https://korean.visitkorea.or.kr/kfes/detail/fstvlDetail.do?fst.. 2023. 9. 27.
논산 강경젓갈축제 2023.10.19. (목) ~ 2023.10.22. (일) 강경젓갈의 특징은 모든 재료를 원산지에서 직접 가져와 선조로부터 이어받은 전통비법에 현대화된 시설로 정갈하게 제조되어 전국의 어느 젓갈과도 비교될 수 없는 옛 고유의 참맛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업형 축제로 발전한 강경젓갈축제는 당초 IMF가 한창이던 1997년 경제 극복의 일환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상인들의 소득증대 취지에서 강경 젓갈상인들의 뜻을 모아 시작한 축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규모가 커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07년부터 강경젓갈발효축제에서 강경젓갈축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단순히 젓갈이 염장식품이라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세계속의 젓갈, 발효음식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다진 결과, 관광객들의 호응도가 훨씬 높아졌다. 강경젓갈축제 (nonsan.go.kr) 출처: h.. 2023. 9. 27.
728x90
반응형